새로운 팀, Cargo에서 첫 한 달 회고

미국 B2B SaaS 스타트업 Cargo에 Founding AE로 합류한 지 한 달이 지난 뒤, 첫 달의 성과, 아쉬움, 다음 계획을 정리하는 회고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팀, Cargo에서 첫 한 달 회고

Cargo (YC S23) 팀에서 일한 지 벌써 한 달이 지났다.

미국 B2B SaaS 스타트업에서 첫 번째 영업 담당자(Founding AE)로 합류하며, 60일 온보딩 플랜과 도전적인 목표를 세운 지 한 달이 되는 시점에서, 첫 한 달을 돌아보며 회고해본다.


시작 당시의 목표

입사 전 창업자들과 미리 이야기하면서 세웠던 60일 온보딩 플랜에서 첫 달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ICP(Ideal Customer Profile)와 주요 페인 포인트 이해
  • Cargo를 활용한 실제 워크플로우 구축 (Product training)
  • 아웃바운드 시작 및 초기 미팅 예약 (목표: 3~5건)
  • 스트레치 목표: 첫 딜 클로징

이 목표들은 단순한 체크리스트가 아니라, 창업자들과의 기대치 정렬을 통해 설정된 실질적인 기준이었다.


실제 달성한 성과

31일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만들었다.

  • 총 10건의 미팅 예약
  • 인바운드 리드 포함 13건의 영업 기회(opportunity) 생성 및 딜 관리
    • 그 중 2개의 딜은 전체 팀에서 굉장히 기대할만한 기회들
    • 큰 회사 규모와 해당 업계에서 모두가 알만한 탑티어 회사들
  • 주요 워크플로우 직접 빌드 (주요 타겟 리스트 빌딩, 워터폴 엔리치먼트, 아웃바운드 자동화, CRM 동기화 등)
  • 아웃바운드 메시지와 콜드콜 스크립트 작성 및 테스트 (대부분의 아웃바운드 캠페인을 리드 중)
  • 콜 리코딩 분석 및 플레이북 작성 시작
  • GTM Stack 관리 및 개선 (CRM 관리, 리포팅/대시보드 구축, 미팅 녹화 및 자동화 설정 등)

첫 딜 클로징이라는 스트레치 목표는 아쉽게 달성하지 못했지만, 그 외 다른 목표에서는 모두 초과 달성했다.

첫 한 달을 마무리하며 창업자들과 퍼포먼스 리뷰를 진행했고, 매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 두 번째 달이 기대된다는 평가도 함께.


아쉬운 점과 원인 분석

가장 큰 아쉬운 점: 파이프라인에 더 집중했어야 한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충분한 파이프라인을 만들지 못했던 것이다. 특히 한 달을 마무리하며 다음 달과 올해 영업 목표치(Quota) 달성을 위한 전략을 다시 정리해보니, 그 중요성이 더 분명해졌다.

지금 가장 중요한 건 파이프라인이다.

아마 대부분의 초기 팀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어느 정도 PMF(Product-Market Fit)를 찾았고,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채널을 적절히 활용해 충분한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Founding AE로서 약 45일짜리 세일즈 싸이클을 고려했을 때, 지금 시점에서 더 많은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야 8~9월에 클로징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금 파이프라인이 부족하면 다음 달 목표 달성도 어렵다.

충분한 파이프라인을 만들지 못했던 이유?

  1. 아웃바운드 볼륨 부족
    • 이메일 도메인 웜업 지연으로 인해 발송량이 제한됨
    • LinkedIn 볼륨 제한, 콜드콜 연결률 낮음
    • 개선책: LinkedIn은 핵심 타겟만 대상으로, 이메일 활용도 높이기
  2. 밸런스 조절 미숙
    • 온보딩하면서 동시에 Prospecting과 Closing을 병행하는 데서 리듬 잡기가 어려웠음
    • 개선책: 주 초에는 영업 기회 생성에 집중하고, 주 후반에는 기존 딜 전진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밸런스 조절

다음 달의 계획

목표

  1. 최소 15~20건의 미팅 예약
  2. 최소 3건의 딜 클로징

아웃바운드 및 파이프라인 전략

  1. 잘 작동한 메시지에 집중해 타겟팅 정교화
  2. LinkedIn은 핵심 고객에게만, 나머지는 이메일 활용
  3. 여러 이메일 도메인을 활용해 발송량 확대
  4. 스팸처럼 보이지 않는, 가치 중심의 이메일 작성
  5. 콜드콜을 위한 집중 시간 확보 및 실험

디스커버리 & 데모 전략

  1. 매 콜마다 하나씩 개선 포인트 도출 → 즉시 반영
  2. AE Frameworks 2.0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임팩트 중심의 미팅 진행

마무리

첫 딜까지 클로징했다면 완벽했겠지만, 그래도 꽤 괜찮은 출발이었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방향은 잘 잡은 것 같다.

물론 아쉬운 점도 있었지만, 팀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시간이었다.

다음 한 달은 더 큰 성과와, 지금보다 더 깊은 배움이 함께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다.